골프클럽은 기본적으로 공을 멀리 보내기 위한 클럽이지만 아이언은 공을 정확한 거리로 보내기 위한 클럽으로 보는 게 좋습니다. 아이언을 구매 할때 단조와 주조 라는 두가지 공법을 스펙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요. 과연 단조와 주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단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조는 망치 등으로 철을 두드려 모양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불에 달군 후 두드려 모양을 잡아 부드러운 소재인 연철을 사용합니다. 철을 두드려 압력을 가해 압축 압착해서 만들기 때문에 밀도가 높은 편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속이 꽉 차 있고 좋은 강철이 사용된 단조 아이언이 몇 가지 이유로 타구감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공법 소재보다는 외형이나 구조적인 면에서 타구감 차이가 크다고 말하고 있기도 합니다.
단조는 1차 가공 후 깎고 갈아내 기초가 되는 모양이 단순하여 날렵한 머슬백 모양이 대부분입니다. 헤드를 깎아서 만들기 때문에 주조보다 헤드 크기가 작아져 치는 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상급자용이라는 인식이 생겼습니다. 중심을 벗어난 임팩트 시 볼이 휘어져 날아가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주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조는 만들어진 틀에 쇳물을 부어 굳히는 방식입니다. 틀에 찍어내므로 원하는 형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동일한 틀에 찍어내서 모양의 일관성이 높고, 디자인과 성능 두 개를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틀에 찍어내는 방식 때문에 주조는 밀도가 낮은 편입니다. 틀에 찍어 원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주조는 모양이 복잡한 캐디백이 대부분입니다.
주조의 단점은 볼을 날카롭게 때리는 맛이 부족하고 묵직한 디자인이지만, 헤드 아래 부분 좌우로 무게를 배치해 무게 중심점이 낮으므로 미스샷을 보완해 주고, 반발력 또한 좋아 초-중급자들에게 적합한 아이언이라는 인식이 생겼습니다.
실제로 두 아이언의 성능 차이가 크지는 않다고 하는데요. 단조가 타구감이 우수하다는 것은 제작 공법의 차이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비교를 할 수 있지만 그것이 스코어에 영향을 줄 만큼의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단조 채는 컨트롤이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무게감과 밸런스가 주조 채보단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배경으로 참고해서 아이언 채를 고른다면 좀 더 나에게 맞는 체를 선택해서 고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단조와 주조 말고 아이언의 다른 형태도 있는데요. 그 중에서 캐비티 아이언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캐비티 아이언의 특징으로는 헤드 뒷면을 파내 공간을 만들어 낸 것이 특징입니다. 헤드의 뒷면이 비어있기때문에 헤드의 무게 중심이 아래쪽 부분에 집중되어있습니다. 아래쪽에 집중된 무게 중심 덕분에 높은 탄도를 만들어내고 관용성 또한 좋습니다
또한 머슬백 아이언이 있는데요. 머슬백 아이언의 특징으로는 헤드 뒷면의 파임없이 꽉 차있는 형태를 가집니다. 무게중심이 클럽헤드의 가운데에 집중되어있어 정확한 임팩트를 했을때 타구음과 동시에 컨트롤샷도 용이합니다. 하지만 관용성이 조금 떨어져 스윙스팟에 정확히 타격할 수 있는 상급자 골퍼들에게 사랑받는 형태의 아이언입니다
아이언을 구매하실때 아이언의 명칭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으실 텐데요. 아이언의 명칭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샤프트란? 헤드와 그립을 이어주는 막대 부분 이라고 불립니다. 호젤 이란? 샤프트와 헤드의 연결부분에 끼워주는 것 이라고 불립니다. 힐 이란? 헤드의 안쪽부분을 이야기 하며 솔 이란? 헤드의 전체적인 아래쪽 부분 이라고 합니다. 리딩엣지 란 ? 페이스와 솔의 경계선 부분 이라고 하는데요. 페이스란 공이 맞는 부분 이라고 불리며 토우란 헤드의 바깥쪽 넓은 부분 이라고 합니다. 탑라인이란 아이언의 윗부분 이라 불리며 그루브는 헤드 페이스쪽에 있는 선을 의미합니다.
'gol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측정기 시계, 측정기 무엇이좋을까? (0) | 2020.09.24 |
---|---|
드라이버 비거리 골반으로 해보자 (0) | 2020.09.23 |
젝시오 왜 여성들이 선호할까? (0) | 2020.09.18 |
아이언은 찍어쳐야할까? 쓸어쳐야할까? (0) | 2020.09.17 |
첫 라운딩 준비물, 주의사항 (0) | 2020.09.16 |